컴퓨터과학과
사물통신(M2M)과 사물인터넷(IoT)의 차이점
공부하는노년
2025. 4. 28. 07:41
반응형
사물통신(M2M)과 사물인터넷(IoT)의 차이점

✅ 개념 비교
정의 | 기계와 기계 간의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 | 사물에 센서와 네트워크를 연결해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
주요 대상 | 기계(Machine)와 기계 간의 통신 | 사람, 사물, 서버 등 다양한 요소 간의 연결 |
통신 방식 | 대부분 전용망 또는 셀룰러 통신 이용 |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네트워크 사용 |
데이터 처리 | 단순한 정보 송수신 중심 | 수집 → 분석 → 자동제어 등 지능형 서비스 중심 |
예시 | 자판기의 재고 알림, 차량의 원격 진단 | 스마트홈,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스마트농업 등 |
✅ 기술적 차이점
1) 네트워크 범위
- M2M: 특정 기기 간 연결에 국한
- IoT: 인터넷을 통해 광범위한 기기들이 상호작용
2) 확장성과 유연성
- M2M: 폐쇄적 구조, 장비 간 직접 연결 위주
- IoT: 개방형 구조, 클라우드 및 다양한 플랫폼 연동 가능
3) 서비스 지향성
- M2M은 주로 하드웨어 중심의 솔루션
- IoT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플랫폼과 서비스를 포함함
✅ 관계 정리
- 사물통신(M2M)은 사물인터넷(IoT)의 초기 형태 혹은 하위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 IoT는 M2M보다 더 넓은 개념이며, M2M의 기능을 포함하면서도 인터넷 기반, 플랫폼 기반,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연동 등 다양한 확장 요소를 내포합니다.
✅ 요약 문장
사물통신(M2M)은 기계 간 정보 전달에 초점을 둔 통신 기술이고,
사물인터넷(IoT)은 이 통신 기반 위에 데이터 분석, 자동화, 서비스 제공까지 포함된 차세대 융합 기술입니다.
✅ 예시로 이해하기
구분 | 사물통신 | 사물인터넷 |
자판기 | 음료가 떨어지면 본사에 메시지를 자동 발송 | 재고·판매량을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 음료 추천까지 제공 |
차량 정비 시스템 | 차량의 고장 여부를 정비소로 전송 | 운전 패턴, GPS, 날씨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고 예측까지 |
농업 분야 | 센서가 토양 수분을 측정하고 급수 신호를 보냄 | 날씨, 작물 종류, 생육 주기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 시비와 급수 결정 |
결론:
M2M은 '연결'에 중심이 있고, IoT는 '연결 이후의 지능적인 처리와 서비스'에 중심이 있습니다.
즉, IoT는 M2M의 발전된 형태로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수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