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과학과

'심층 리서치' 검색 모드와 일반 모드의 차이 분석

by 공부하는노년 2025. 3. 11.
반응형

'심층 리서치' 검색 모드와 일반 모드의 차이 분석

'심층 리서치' 검색 기능 개요


OpenAI가 ChatGPT에 도입한 '검색' 모드(일명 ChatGPT Search 또는 searchGPT)는 실시간 웹 검색을 통해 보다 최신의 정보를 답변에 활용하는 기능입니다. ChatGPT Plus(유료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서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AI가 Microsoft Bing 등의 검색 엔진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최신 웹 정보를 찾아 답변에 반영합니다. 이를 통해 일반 모드(인터넷 검색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제공되지 않던 최신 뉴스나 업데이트된 자료까지 포함한 보다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 상의 변화


검색 모드 활성화는 대화 입력창 좌측 하단의 지구본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여 이루어집니다. 평소 회색이던 이 아이콘을 누르면 파란색으로 강조되며 아이콘 옆에 “검색”이라는 라벨이 나타나 현재 검색 기능이 켜져 있음을 표시합니다. 반대로 일반 모드에서는 이 아이콘이 비활성화(회색) 상태로 유지되며 별도의 라벨 표시도 없습니다.

ChatGPT 플러스 인터페이스에서 프롬프트 입력창 좌측 하단의 지구본 아이콘(위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표시)을 클릭하면 '검색'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아이콘이 파랗게 바뀌고 옆에 검색이라는 라벨이 나타나며, 이 상태에서 입력한 질문은 실시간 웹 검색을 통해 답변됩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이 아이콘이 회색으로 표시되며 검색이 수행되지 않습니다.)

검색 모드에서는 답변 표시 방식에도 변화가 있습니다. 검색을 통해 얻은 정보의 출처(Reference)가 답변과 함께 제공됩니다. 예를 들어, ChatGPT가 찾아낸 웹 정보에 기반해 답변을 작성하면, 답변 본문에 하이퍼링크 형태로 출처를 달거나 답변 하단에 “출처” 섹션을 통해 해당 정보의 근거가 된 웹사이트 링크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Perplexity AI 등의 검색형 챗봇과 유사하며, 사용자가 답변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반면 일반 모드의 ChatGPT 답변에는 기본적으로 출처 링크나 인용 표시가 없으며, 모델이 자기 지식으로만 답변합니다.

또한 이미지 검색 결과 표시도 인터페이스 차이 중 하나입니다.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가 “관련 사진을 보여줘”와 같이 요청하면, ChatGPT가 웹에서 이미지를 검색하여 답변 상단에 썸네일 이미지들을 표시합니다. 기본적으로 관련 이미지 4장이 갤러리 형태로 제시되며,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이미지가 있는 원본 웹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이러한 실제 웹 이미지 삽입이 불가능하고, 오직 텍스트로만 설명하거나 (또는 DALL·E 등을 통해 생성 이미지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실시간 검색된 사진을 직접 보여주지는 못합니다.

검색 모드 활성화 시 이미지 검색 결과 예시. 사용자가 “NextRise의 주요 구성 요소를 사진들과 함께 보여줘.”라고 요청하자, ChatGPT가 웹에서 관련 사진 4장을 찾아 답변 상단에 표시한 모습입니다. 이처럼 검색 기능을 통해 실제 웹상의 사진 자료를 곁들여 답변할 수 있으며, 이미지 아래에는 해당 출처(예: nextrise.co.kr)가 함께 표시됩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이러한 최신 사진 자료를 가져와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검색 모드만의 고유한 기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능상의 변화


검색 기능이 활성화되었을 때 ChatGPT의 동작 방식과 능력에도 몇 가지 변화가 발생합니다.

실시간 정보 획득:

검색 모드에서는 질문을 처리할 때 OpenAI의 언어 모델이 실시간으로 웹 검색을 수행합니다. 그 결과 최신 뉴스, 업데이트된 데이터, 현재 시점의 정보 등이 답변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자의 주식 시장 동향 알려줘”와 같은 요청에 일반 모드라면 과거 지식만으로 부정확한 답을 할 수 있지만, 검색 모드에서는 인터넷에서 최신 뉴스를 찾아 반영한 답을 제공합니다.

출처 기반 답변:

검색을 통해 얻은 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에 사실 검증된 정보 위주로 답변이 구성됩니다. ChatGPT가 찾아낸 웹페이지 내용에 근거하여 답변하고, 해당 근거의 출처를 링크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답변의 신뢰도를 높입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언어 모델이 자체적으로 기억하거나 학습한 내용을 생성하기 때문에 가끔 사실과 다른 할루시네이션(허위 정보 생성)이 발생할 수 있지만, 검색 모드에서는 이런 현상이 줄어들어 허위 정보에 대한 우려가 상당 부분 완화됩니다.

최신 데이터와 정확성:

검색 모드 도입 전에는 ChatGPT의 지식 한계로 인해 최신 정보나 전문적 데이터 정리에서 부족함이 있었지만, 검색 기능 활성화 후에는 보다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초기 사용 보고에 따르면, 예전에 ChatGPT가 제대로 답하지 못하던 실시간 정보 기반 질문에 대해서도 검색 모드에서는 정확한 답을 찾아오는 사례가 확인되었으며, 응답 속도도 비교적 빠른 편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이미지 및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

앞서 언급했듯 검색 모드에서는 이미지 검색 결과를 답변에 첨부하는 등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텍스트 설명과 함께 시각 자료까지 얻을 수 있어 더욱 풍부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모델이 본문에 그림이나 표 등을 자체 생성할 수는 있지만, 실제 웹상의 이미지나 최신 도표 등을 직접 가져오지는 못하므로 정보 제공 범위에 차이가 있습니다.

모델 지식 한계 극복:

일반 모드 ChatGPT는 학습 데이터 기준 시점(지식 컷오프) 이후의 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최신 사건이나 트렌드에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검색 모드 활성화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여 인터넷상의 최신 지식을 곧바로 활용함으로써, 질문의 시의성에 맞는 답변을 생성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말 현재 삼성전자 주가가 어떻게 되었나?”와 같은 질문에 일반 모드는 정확한 답을 못하지만, 검색 모드에서는 해당 시점의 주가 정보를 찾아 알려줄 수 있습니다.


일반 모드와의 비교 요약


둘 사이의 차이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콘 표시:

검색 모드 활성 시 좌측 하단 지구본 아이콘이 파란색으로 활성화되고 “검색” 라벨이 표시됨. 일반 모드에서는 아이콘이 비활성화(회색) 상태로 표시됨.

지식 소스:

검색 모드는 실시간 웹에서 수집한 정보로 답변을 구성함. 일반 모드는 사전에 학습된 고정 지식에 기반하여 답변함.

최신 정보:

검색 모드는 최신 뉴스/업데이트 반영 가능. 일반 모드는 지식 컷오프 이후의 정보는 제공 불가.

출처 제공:

검색 모드 답변에는 출처 링크/인용이 포함되어 신뢰도 검증이 가능함. 일반 모드 답변에는 출처 표시가 기본적으로 없음.

이미지 결과:

검색 모드에서는 관련 사진/이미지를 웹에서 찾아 표시 가능. 일반 모드는 실시간 이미지 검색 결과를 보여줄 수 없음.

응답 정확성:

검색 모드는 사실 정확성이 높고 잘못된 정보 생성 위험이 감소함. 일반 모드는 때때로 환각 답변이 나타날 수 있음.

사용 가능 대상:

검색 모드는 ChatGPT Plus 등 유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이며 해당 아이콘으로 활성화해야 동작함. 일반 모드는 모든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상태.


이상과 같이, '심층 리서치'로 불리는 검색 기능 활성화 시에는 UI에 작은 변화(아이콘 색상/라벨, 답변 내 출처 표기 등)가 나타나고, 기능적으로는 최신 웹 자료를 활용한 더욱 정확하고 풍부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 모드와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러한 검색 모드의 도입으로 ChatGPT는 단순한 언어 모델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실시간 정보까지 아우르는 인공지능 비서로서의 역할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참고 자료: ChatGPT 검색 기능 출시 관련 블로그 및 사용 후기, GPT Korea解説 자료 등.


'컴퓨터과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시스템 정리 (File System Overview)  (1) 2025.03.16
Git 종합 가이드  (1) 2025.03.12
ChatGPT 심층 리서치: 개념부터 활용까지  (1) 2025.03.10
유튜브 채널  (1) 2025.03.07
마이그레이션이란  (2) 2025.02.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