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국문학과123

박목월의 시 '윤사월'을 낭송하면서 음운 현상으로 시인의 성이 달라지는 경우시 낭송에서 시인의 이름을 발음할 때, 특정 자음이나 모음의 영향으로 연음, 유음화, 비음화, 구개음화 등이 자연스럽게 발생합니다. 다음 사례는 ‘박목월’이라는 이름에서, ‘목’의 영향을 받아 ‘박’이 ‘방’처럼 발화되는 현상으로, 이는 비음화 현상에 해당합니다.1. 비음화에 의한 발음 변화‘박목월’을 빠르게, 자연스럽게 말할 때→ [박목월] → [방목월]이는 다음과 같은 음운 현상 때문입니다.‘박’의 종성 ㄱ(경음) 뒤에,초성 ‘ㅁ’ 또는 ‘ㄴ’ 같은 비음(비강을 통해 소리내는 소리)이 올 경우,‘ㄱ’이 ‘ㅇ’으로 바뀌는 비음화가 일어납니다.즉, ‘ㄱ + ㅁ’ 구조에서 ‘ㄱ’이 발음상 ‘ㅇ’처럼 바뀌면서‘박목월’이 ‘방목월’처럼 들리는 것입니다.2. 시 낭송에서 .. 2025. 3. 28.
시 창작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시 창작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시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관계는 본질적으로 상징과 함축, 그리고 여백의 미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시인은 종종 눈앞에 드러난 사물이나 현상을 묘사하면서도, 그 이면에 감춰진 의미를 암시함으로써 독자가 상상하고 사유하도록 유도합니다.1. 보이는 것: 감각과 이미지의 세계시는 본질적으로 감각적인 언어를 사용합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사물,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질감, 귀로 들리는 소리, 혀끝에서 느껴지는 맛과 같은 감각적 요소들은 시적 표현의 기본적인 토대가 됩니다. 예를 들어, 백석의 시 「흰 바람벽이 있어」에서 시인은 ‘흰 바람벽’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지만, 그것은 단순한 벽이 아니라 내면의 쓸쓸함과 상실감을 암시하는 매개체로 작용합니다... 2025. 3. 27.
조음 기관(調音器官, articulatory organs) 조음 기관이란 무엇인가?우리가 말을 할 때 입 안과 목 안에서는 소리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움직임이 일어납니다. 이런 움직임에 직접 관여하는 신체 기관들을 ‘조음 기관(調音器官, articulatory organs)’ 이라고 부릅니다. 쉽게 말하면, 말소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모든 신체 기관을 조음 기관이라 합니다.1. 조음 기관의 정의와 중요성조음(調音, articulation)이란, 입과 목 안에 있는 기관들이 움직여서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 내는 과정입니다. 이때 움직이는 기관들을 조음 기관이라고 부릅니다. 즉, 혀나 입술, 이, 코, 목구멍과 같은 신체 기관들이 대표적입니다. 조음 기관이 중요한 이유는, 이 기관들의 움직임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 발음, 소리의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2. 대표.. 2025. 3. 26.
인두강이란 인두강이란 무엇인가?언어를 배우고 발음하는 과정을 공부할 때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기관 중 하나가 바로 **인두강(咽頭腔)**입니다. '인두강'은 발음뿐만 아니라, 호흡과 음식 섭취와도 밀접하게 연결된 우리 몸속 중요한 공간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인두강의 개념과 기능을 알기 쉽게 정리하고, 발음과 관련된 중요한 특징도 소개하겠습니다.1. 인두강(咽頭腔)의 정의와 위치**인두강(pharyngeal cavity)**은 목 안쪽 깊숙한 곳에 위치한 공간으로, 입 안의 뒤쪽과 코의 뒤쪽, 그리고 식도로 연결되는 부분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입과 코의 뒤쪽에서부터 식도와 후두(기도)로 내려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부분이 바로 인두강입니다.조금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코 뒤쪽의 공간(비강).. 2025. 3. 25.
구강음과 비강음 구강음과 비강음이란 무엇인가?우리가 말을 할 때 소리는 입(구강)이나 코(비강)를 통해 나오게 됩니다. 말소리가 입으로만 나오는지, 아니면 코로도 흘러나오는지에 따라 크게 구강음과 비강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 두 개념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소개하겠습니다.1. 구강음(口腔音)이란?구강음(oral sound) 이란 입(구강)으로만 공기가 빠져나오면서 만들어지는 소리입니다. 즉, 말소리가 나올 때 입 안에서만 공기가 흐르고,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는 소리입니다.쉽게 말하면,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소리는 구강음에 속합니다.대표적인 구강음의 예시자음 : ㄱ, ㄷ, ㅂ, ㅈ, ㅅ, ㅎ 등모음 : 아, 어, 오, 우, 이, 에, 애 등 모든 모음구강음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은 코를 막은 채.. 2025. 3. 25.
음성학과 음운론 음성학과 음운론이란 무엇인가?언어를 배우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음성학’**과 **‘음운론’**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두 용어는 비슷한 듯 보이지만, 각각 다른 개념과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개념을 알기 쉽게 정리하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1. 음성학(Phonetics)이란?음성학이란 인간이 내는 모든 말소리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음성학은 소리를 내는 방법(발음), 소리가 전달되는 과정, 듣는 사람이 소리를 인지하는 방식 등 소리의 실제적 현상을 다룹니다.음성학의 세 가지 주요 분야① 조음음성학(調音音聲學)발음 기관(입술, 혀, 성대 등)이 소리를 어떻게 만들어내는지를 연구합니다.예) 입술을 붙였다 떼면서 내는 소리 ‘ㅂ’, 혀끝을 치아.. 2025.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