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string 방식, .format()과 비교
f-string 방식은 Python 3.6부터 도입된 가장 직관적이고 가독성 좋은 문자열 포맷팅 방법입니다. 아래에 f-string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기본 문법
f"문자열 중간에 {변수명 또는 표현식}"
- 문자열 앞에 반드시 f 를 붙입니다.
- 중괄호 {} 안에 변수, 수식, 함수 등을 직접 쓸 수 있습니다.
- 포맷 지정자도 바로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f-string에서의 실수 포맷 지정
📌 형식
f"{값:전체너비.소수점자리수f}"
- f는 실수(float) 형식
- .소수점자리수 → 소수점 아래 자리수
- 전체너비 → 최소 출력 폭(공백 포함)
✅ 예제: math.sqrt() 사용
import math
for k in range(1, 5):
print(f"sqrt({k}) = {math.sqrt(k):5.3f}")
출력 결과:
sqrt(1) = 1.000
sqrt(2) = 1.414
sqrt(3) = 1.732
sqrt(4) = 2.000
🔍 해석
- f"sqrt({k}) = {math.sqrt(k):5.3f}"
→ k는 그대로 출력되고
→ math.sqrt(k) 값은 소수점 아래 3자리, 전체 최소 너비 5칸으로 맞춰져 출력됩니다.
✏️ 비교: .format()과 f-string
방식 | 코드 예시 코드 예시 | 특징 |
.format() | "sqrt({0}) = {1:5.3f}".format(k, math.sqrt(k)) | 오래된 방식, 파이썬 2/3 공통 |
f-string | f"sqrt({k}) = {math.sqrt(k):5.3f}" | 간단하고 가독성 뛰어남 |
💡 f-string의 장점 요약
- ✅ 변수 삽입이 직관적이다.
- ✅ 수식, 함수 호출도 바로 가능하다.
예: f"{x + y:.2f}", f"{math.sqrt(n):.3f}" - ✅ 디버깅에도 좋다.
예: f"{value=}" → value=3.14 출력
📘 정리 요약
표현식 | 의미 |
f"{x:.2f}" | x를 소수점 2자리로 출력 |
f"{x:7.3f}" | x를 전체 7칸, 소수점 3자리로 출력 |
f"{x:>10.2f}" | 오른쪽 정렬, 전체 10칸, 소수점 2자리 |
f"{x:<10.2f}" | 왼쪽 정렬 |
f"{x:^10.2f}" | 가운데 정렬 |
'컴퓨터과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열 포맷 "{1:5.3f}" (0) | 2025.04.14 |
---|---|
파이썬 가상환경에서 'apt' 설치와 'pip' 설치 차이 (0) | 2025.04.13 |
FastAPI 기본 실습 - 형성평가 모범답안 (0) | 2025.04.08 |
필수 패키지들이 가상환경에 설치 (0) | 2025.04.07 |
구글 크롬(Google Chrome)과 크로미엄(Chromium) (0) | 2025.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