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과학과

AWS의 양대 축, S3와 EC2

by 공부하는노년 2025. 5. 14.
반응형

AWS의 양대 축, S3와 EC2

1. S3(Simple Storage Service) – 클라우드 저장의 시작

■ 개요

S3는 2006년 3월에 출시된 AWS의 두 번째 상용 서비스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무제한에 가까운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로, 특히 정적 파일(이미지, 동영상, 로그, 백업 등)을 저장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주요 특징

  • 객체 단위 저장: 파일은 '오브젝트'라는 단위로 저장되며, 각각 메타데이터와 고유한 키를 가집니다.
  • 버킷(Bucket) 기반 구조: 오브젝트는 버킷이라는 컨테이너 안에 저장됩니다. 버킷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합니다.
  • 내구성 99.999999999% (11 9's): 데이터 손실 위험이 거의 없으며, 여러 지역에 자동으로 복제 저장됩니다.
  • 무제한 저장: 이론상 저장 용량에 제한이 없으며, 파일 하나당 최대 5TB까지 업로드 가능
  • 정적 웹 호스팅 가능: HTML, CSS, JS로 구성된 웹사이트를 버킷에 올려 정적 웹사이트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시

  • 웹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동영상 저장소
  • 백업 및 복원 시스템
  •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 데이터 레이크 구축
  • IoT 센서 로그 저장

■ 요금 체계

  • 저장 용량 기준으로 과금
  • 요청 수(GET/PUT 등), 전송량(OutBound)도 요금에 포함
  • 자주 접근/아카이브용 등 저장 방식에 따라 Standard, IA, Glacier 등으로 구분됨

2. EC2(Elastic Compute Cloud) – 클라우드 컴퓨터의 핵심

■ 개요

EC2는 2006년 8월 출시되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상 서버(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마치 물리적인 컴퓨터를 온라인에서 대여해 쓰는 것과 비슷합니다.

■ 주요 특징

  • 온디맨드(필요할 때 생성/삭제): 리소스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어 비용 효율적
  •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 일반형, 컴퓨팅 최적화형, 메모리 최적화형 등 목적에 따라 선택 가능
  • 자동 확장(Auto Scaling): 트래픽에 따라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음
  • 보안 그룹(Security Group): 가상 방화벽 기능으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트래픽 제어
  • AMI(Amazon Machine Image):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이미지로 인스턴스 생성 시 사용
  • 키 페어(Key Pair): SSH를 통해 보안 접속

■ 사용 예시

  • 웹 서버, 백엔드 서버 운영
  • 게임 서버, 데이터 분석 서버
  • 머신러닝 훈련 환경
  • CI/CD 자동화 빌드 서버
  • 고성능 컴퓨팅(HPC)

■ 요금 체계

  • 시간(또는 초) 단위 과금
  • 인스턴스 유형, 지역, OS, EBS 저장소 등 설정에 따라 요금 차이 발생
  • 예약 인스턴스/스팟 인스턴스 활용 시 비용 절감 가능

3. S3와 EC2의 조합

AWS를 사용하는 많은 시스템은 S3와 EC2를 함께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EC2에서 실행 중인 웹 서버는 정적 파일(이미지, 문서 등)을 S3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S3 URL을 통해 파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백업 데이터나 로그도 EC2에서 S3로 자동 업로드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조합은 특히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 EC2에서 처리한 결과 파일을 S3에 저장하고, 이후 분석 또는 보관
  • 대용량 업로드나 다운로드가 필요한 서비스에서 S3를 이용한 효율적인 트래픽 분산
  • EC2를 임시 작업용으로 사용하고 결과는 영구 저장소인 S3로 이전

4. 마무리

S3와 EC2는 AWS 클라우드의 핵심 중 핵심입니다. 하나는 무제한 저장소, 하나는 가상 컴퓨터입니다. 이 둘만으로도 단순한 웹 서비스부터 복잡한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까지 구축이 가능합니다.

초보자라면 S3로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부터 시작해 보고, EC2에서 간단한 서버를 띄워보는 경험을 추천드립니다. 클라우드의 유연함과 확장성을 가장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