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C2의 저장소, AWS EBS 완전 정복
1. EBS란 무엇인가?
Amazon Elastic Block Store(EBS)는 AWS에서 제공하는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로, EC2 인스턴스(가상 서버)에 연결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고 쓸 수 있는 장치입니다.
EBS는 마치 컴퓨터의 SSD나 HDD와 같은 역할을 하며, EC2 인스턴스가 꺼지거나 재시작되어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습니다.
- EC2는 기본적으로 운영체제만 있는 컴퓨터
- 여기에 EBS를 붙이면 C:드라이브, D:드라이브처럼 작동
- 부팅 디스크로도 사용 가능
2. EBS의 특징
■ 블록 스토리지
- 파일 단위가 아닌 블록 단위로 데이터 저장
- 운영체제의 파일 시스템에서 직접 마운트 가능
■ 고성능 IOPS 제공
- SSD 기반 스토리지를 선택하면 초당 수천 개의 입출력을 처리 가능
- 데이터베이스,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 독립적이고 영구적인 저장소
- EC2 인스턴스를 종료해도 EBS는 삭제되지 않음 (설정에 따라 다름)
- 다른 인스턴스에 재연결 가능
■ 스냅샷 지원
- 현재 상태를 S3에 백업 가능
- 스냅샷을 바탕으로 다른 리전에 복제도 가능
■ 크기와 성능 확장
- 실시간으로 디스크 용량 증가 가능
- 성능(Throughput, IOPS)도 조정 가능
3. EBS의 유형
EBS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뉩니다:
유형 | 설명 | 사용 용도 |
gp3 | 범용 SSD, 최신형 | 웹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
gp2 | 기존 범용 SSD | 이전 세대 서버 |
io2/io1 | 고성능 IOPS SSD | 대형 DB, 트랜잭션 시스템 |
st1 | 처리량 중심 HDD | 빅데이터, 로그 저장 |
sc1 | 콜드 HDD | 백업, 덜 자주 쓰는 데이터 |
※ 대부분의 일반적인 EC2 작업은 gp3로 충분합니다.
4. 사용 예시
✅ EC2 루트 볼륨
- EC2 인스턴스의 부팅 디스크로 사용
- 운영체제 설치 및 시스템 파일 저장
✅ 추가 저장소
- 데이터 저장, 애플리케이션 파일, 로그 저장용으로 추가 연결
✅ 데이터베이스
- MySQL, PostgreSQL 등 RDS 없이 직접 설치 시, DB 파일 저장
✅ 스냅샷 백업
- 중요한 시점의 상태를 저장하고 복원용으로 사용
5. EBS와 S3의 차이
항목 | EBS | S3 |
저장 방식 | 블록 스토리지 | 객체 스토리지 |
사용 용도 | EC2 전용 디스크 | 백업, 파일 저장소 |
연결성 | EC2에 직접 연결 필요 | 인터넷을 통해 접근 |
성능 | 고속 읽기/쓰기 가능 | 지연 있음, 주로 백업/보관용 |
요금 단위 | 저장용량 + IOPS | 저장용량 + 요청 수량 |
6. 요금 구조
EBS는 다음 기준으로 요금이 부과됩니다:
- 스토리지 용량(GB 단위/월)
- 입출력 속도(IOPS, Throughput)
- 스냅샷 저장 용량
- 데이터 전송(같은 AZ 내는 무료, 리전 간 복제는 유료)
※ 프리 티어는 30GB까지 EBS 스토리지 무료 제공
7. 실습 예시: EC2에 EBS 추가 연결하기
- EC2 인스턴스 실행
- 콘솔에서 볼륨 생성 (예: gp3, 20GB)
- 인스턴스와 같은 가용 영역(AZ) 설정
- 볼륨 연결 클릭 → EC2 인스턴스 선택
- 인스턴스 내부에서 lsblk로 디스크 확인
- mkfs, mount 명령어로 포맷 및 마운트
8. 마무리
EBS는 EC2와 함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인프라 구성 요소입니다.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빠르게 접근하며, 스냅샷 기능으로 복원까지 가능한 EBS는 서버 운영의 안정성을 책임지는 신뢰할 수 있는 저장소입니다.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로그, 백업 등 거의 모든 AWS 프로젝트에서 EBS는 빠질 수 없는 필수 자원입니다.
'컴퓨터과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S Studio 활용 (1) | 2025.05.22 |
---|---|
Zoom 학습 중 화면 녹화 (2) | 2025.05.21 |
서버 없는 서버, AWS Lambda (3) | 2025.05.18 |
AWS RDS – 클라우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간편하게 (4) | 2025.05.17 |
리전, 가용 영역, 엣지 로케이션 – AWS 인프라의 3대 축 (3) | 2025.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