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단계 이야기 구조 만들기
프레지는 스토리텔링 마인드가 중요합니다. 정적인 프레젠테이션과는 달리 동적인 과정을 진행하면서 스토리를 입힐 수 있습니다. 스토리텔링을 하기 위한 구조를 먼저 만듭니다.
3단계: 이야기 구조 만들기
주요 메시지 및 청중 파악
- 메시지 정의
- 목적 명확화: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을 분명히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청중을 교육하려는 것인지, 설득하려는 것인지, 아니면 정보를 제공하려는 것인지 결정합니다.
- 핵심 메시지 도출: 프레젠테이션의 핵심 메시지를 단순하고 명확하게 요약합니다. 이 메시지는 프레젠테이션 전반에 걸쳐 반복되어야 합니다.
- 타깃 청중 분석
- 청중의 관심사와 필요 파악: 청중의 배경, 관심사, 프레젠테이션 주제에 대한 기존 지식수준을 파악합니다.
- 메시지 조정: 분석된 청중의 특성에 맞게 메시지를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전문가 청중을 대상으로 할 때는 전문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할 때는 쉽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내용 구성 및 흐름
- 이야기의 순서
- 시작, 중간, 끝 구조 활용: 프레젠테이션을 시작, 중간, 끝의 명확한 구조로 나눕니다. 각 부분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히 합니다.
- 논리적 흐름 생성: 정보를 논리적이고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청중이 쉽게 따라갈 수 있도록 합니다.
- 전환 효과 및 인터랙티브 요소
- 전환 효과 활용: 프레지의 독특한 전환 효과를 활용하여 이야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전환 효과는 이야기의 다음 단계로 청중을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인터랙티브 요소 추가: 질문, 설문, 실시간 피드백 등 인터랙티브 요소를 추가하여 청중의 참여를 유도합니다. 이는 청중이 내용에 더 몰입하게 만들고, 기억에 남는 프레젠테이션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3단계 학습 구성안은 프레지 프레젠테이션을 기획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이야기 구조를 만드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핵심 메시지의 명확화, 청중 분석을 통한 메시지 조정, 그리고 논리적인 내용 구성과 흐름을 통해 청중의 이해도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는 전략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 과정을 통해 더욱 효과적이고 인상 깊은 프레젠테이션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컴퓨터과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지와 인공지능] 프레지 공유 및 발표 (0) | 2024.04.19 |
---|---|
[프레지와 인공지능] 연습과 리허설을 통한 숙달 (1) | 2024.04.18 |
[프레지와 인공지능] 템플릿 선택 및 커스터마이징 (0) | 2024.04.16 |
[프레지와 인공지능] 프레지로 시작하기 (0) | 2024.04.15 |
[프레지와 인공지능] 학습 단계별 프레젠테이션 계획 세우기 (0) | 2024.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