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데이터과학과

[정리] 미래지향적인 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제언

by 공부하는노년 2025. 1. 7.
반응형

미래지향적인 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제언

1.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개요


우리나라 인구의 약 97%가 국민건강보험에 가입.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이 데이터 수집 후 국민건강보험공단(NHIS)에 전송.

NHIS는 비식별화된 데이터를 연구자 및 산업계에 제공.


2. 교육 프로그램 및 활용 현황


2014년부터 2023년까지 2,500명 이상 교육 이수, 자료 제공 건수 23배 증가.

법 개정 이후 민간 연구 지원 및 데이터 교육 확대.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 및 디지털 경제 정책 지원.


3. 데이터 제공 방식

표본연구 DB: 3종 데이터 제공.


1. 표본 코호트 DB - 약 100만 명의 자격, 소득, 검진, 의료이용 내역 포함.

2. 건강검진 코호트 DB - 40-79세, 51만 5천 명의 검진 및 의료이용 분석 가능.

3. 노인 코호트 DB - 68-80세, 51만 명의 검진 및 요양 이용내역 제공.


맞춤형 연구 DB: 연구 목적에 따라 비식별화된 맞춤 데이터 제공.


4. 한계점 및 개선 방향

한계점:


1. 청구데이터 중심으로 진단, 치료, 예후 분석이 어려움.

2. 치료 후 예후 데이터 부족.

3. 예방의학 데이터 부족.

개선 방향:


1. 예방의학 데이터 수집 및 시계열 분석 시스템 필요.

2. 데이터 사업화 및 민간 기업 활용 지원.

3. 비전문가도 접근 가능한 도구(SAS, 파이썬, R 등)와 대화형 시스템 도입 필요.


5. AI와 데이터 시대의 대응 전략


sLLM(소규모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지원 필요.

NVIDIA의 바이오모모와 같은 통합 시스템 도입 제안.

데이터 자산 활용 및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적극적 대응 요구.


6. 결론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는 국가적 자산으로서 큰 가치를 지님.

의료·바이오헬스케어 산업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효율적 활용과 창의적 아이디어 개발 필요.

데이터 공개와 새로운 활용 방안 도입을 통해 한국 의료산업의 위상을 높일 기회 마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