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국문학과124

[문법론] 문장의 의미가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문장, 부정문 부정문부정문은 문장의 의미가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문장입니다. 우리말에서 부정문을 구성하는 요소들, 즉 부정소와 부정극성 단어, 그리고 다양한 부정문 유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부정문의 구성 요소부정소부정문을 만들어 주는 요소는 부정소입니다. 우리말의 부정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부정부사'아니/안': 일반적인 부정문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예: "나는 공부를 안 했다." / "그는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못': 능력이나 가능성의 부정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예: "나는 시험을 못 봤다." / "그는 노래를 못 한다."부정서술어'아니하다/않다': 부정의 서술어로 사용됩니다.예: "나는 그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그는 여기에 오지 않았다."'못하다': 불가능이나 무능.. 2024. 6. 18.
[문법론] 피동(被動,passive)과 사동(使動) 피동(被動,passive)과 사동(使動)피동(被動, passive)은 사동과 함께 전통적으로 ‘태(態, voice)’의 하나로 알려진 문법 범주로, 종래에는 피동태(被動態, passive voice)란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문장의 주어로 나타난 사람이나 사물이 다른 사람이나 다른 사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행동이나 작용이 피동이며, 이러한 피동이 표현된 문장이 피동문입니다.피동문의 특성피동문의 가장 큰 특징은 주어가 행위의 주체가 아닌 대상이 되어 동작이나 상태를 수동적으로 경험한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주체와 대상의 전환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능동문 "철수가 공을 찼다"는 피동문 "공이 철수에게 차였다"로 변형됩니다. 피동문의 또 다른 특징은 피동 접사의 사용입니다. 한국어에서는 주로 ‘-이/히/.. 2024. 6. 17.
[문법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부사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부사어'부사어'는 문장 내에서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문장 전체 등을 수식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부사어는 한국어 문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하고 구체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아래에서 부사어의 정의, 종류, 역할 및 예시를 통해 부사어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부사어 (Adverbial Phrase)정의:부사어는 문장에서 주로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여 시제, 장소, 방법, 정도, 이유, 조건 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부사어는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하고,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상황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부사어의 종류부사 (Adverb):정도 부사: 행동이나 상.. 2024. 6. 16.
[문법론] 조어론과 굴절론 조어론과 굴절론조어론과 굴절론은 언어학에서 단어의 구조와 형성, 변화를 연구하는 두 가지 주요 분야입니다. 이 두 분야는 언어의 단어 구성과 활용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정의와 주요 내용을 설명하겠습니다.조어론 (Morphology)정의:조어론은 단어의 구조와 형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조어론은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들을 분석하고, 새로운 단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연구합니다.주요 내용:형태소 (Morpheme):자립 형태소 (Free Morpheme): 독립적으로 단어가 될 수 있는 형태소.예: 책, 사람, 가다의존 형태소 (Bound Morpheme): 독립적으로 단어가 될 수 없고 다른 형태소와 결합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는 형태소.예: -들 (복수형 접사), -고 (.. 2024. 6. 15.
[문법론] 단어의 종류 단어의 종류단어는 형태소의 수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단일어와 복합어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정의와 예시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1. 단일어 (Simplex Word)정의:단일어는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이러한 단어는 더 이상 작은 의미 단위로 나눌 수 없습니다.예시:명사: 집, 책, 물, 사람동사: 가다, 오다, 자다형용사: 크다, 작다, 예쁘다부사: 빨리, 천천히, 많이2. 복합어 (Complex Word)복합어는 두 개 이상의 형태소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복합어는 다시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눌 수 있습니다.2.1 파생어 (Derivational Word)정의:파생어는 어근에 접사가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접사는 단어의 의미를 변화시키거나 문법적 기능.. 2024. 6. 14.
[문법론] 형태소와 단어의 관계 형태소와 단어의 관계형태소와 단어의 관계는 언어의 기본적인 구조와 형성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형태소는 단어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의미 단위이며, 단어는 이러한 형태소들이 결합하여 만들어집니다. 아래에서 형태소와 단어의 관계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형태소 (Morpheme)정의:형태소는 의미를 가지는 가장 작은 언어 단위입니다. 형태소는 독립적으로 의미를 가질 수 있거나,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여 의미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종류:자립 형태소 (Free Morpheme):독립적으로 단어가 될 수 있는 형태소입니다.예: 책, 사람, 가다의존 형태소 (Bound Morpheme):독립적으로 단어가 될 수 없고 다른 형태소와 결합해야 의미를 가집니다.예: -들 (복수형 접사), -고 (접속 어미).. 2024. 6. 13.